알파코스

교육훈련5.png

장식-9.png

인생의 의문점들에 대해
정리되어 있는 15개의 TALK


불신자의 관계전도, 새신자의 정착 및 기존교인의 구원확신과 헌신에 관한 최고 프로그램으로 한국교회에 소개된 알파코스는 영국성공회에서 시작된 불신자 전도 프로그램으로 총 11주과정의 훈련코스입니다.

이 과정은 교회에 출석하지 않는 비그리스도인들에게 복음을 전달할 수 있는 매우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또한 알파코스를 통해서 기존 기독교인들의 기본적인 신앙을 다시 한번 정리하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알파코스는 1990년 영국 런던에 있는 홀리 트리니티 브롬턴(Holy Trinity Brompton) 교회에서 발전시킨 11주간의 코스이며, 현재 전 세계의 모든 교파에서 약 10,000여 교회가 성공적으로 이 알파코스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알파코스는 일주일에 한 번, 약 2시간 반 정도 모이는데, 그때마다 인생의 의문점들에 정리되어 있는 15개의 토크를 배우고 토의하게 됩니다. 이 알파코스에 성도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라인1.png

교육훈련1-1.png
교육훈련1-2.png
교육훈련1-3.png
책별성경공부

교육훈련-1.png

장식-9.png

창세기부터 요한계시록까지
성경 66권의 책별 개론서 성경공부


책별성경공부는 우리 교회에 출석하고 있는 성도들 중, 성경66권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자 하는 이들을 위한 준비된 성경책별 성경공부 과정입니다. 책별성경공부는 매주 금요일 오전 10시에 1시간 반정도 공부하게 되는데, 매시간 성경책 간 1권을 공부하게 됩니다.

라인1.png

신구약 성경구분
(언어/저자/시기/기타)

성경의 구분 전체 구약 신약
기록된 언어   히브리어 헬라어(그리스)
▶ 구약성경의 언어는 히브리어인데 일부는 히브리어와 사촌간인 아람어 로 된 부분이 있다 (창31:47, 스4:8~6:18, 7:12-26, 렘10:11, 단2:4~7:28의 두 낱말)
▶ 신약성경의 언어도 아람도 조금 들어 있다.
   
책수 66권 39권 27권
장수 1,189 장 929 장 260 장
절수 31,173 절 23,214 절 7, 959 절
글자수(영문) 3,566,490 자 2,728,110 자 838,380 자
기록한 사람수 약 39 명 약 30 명 약 9 명
이들 약40명의 저자가 1,600년에 가까운 기간에 걸쳐서 성경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같은 구원의 계시로 일관해 있는 이유는 한 성령의 감동으로 기록되었기 때문이다(딤후3:16).    
성언을 전달하신 방법 1.하나님께서 친히 손가락으로 두 돌판에 기록하심(출31:18, 신10:2,4)
. 하나님께서 모세와 대면해서 말씀하시고 갖가지 일을 지시하심(민12:7-8)
. 하나님께서 음성을 내사 선지자와 말씀하심(왕상19:12-18, 삼상3:10-14)
. 하나님께서 사자를 보내사 그들로 전달케 하심단9:21-23, 히2:2, 행7:38, 53)
. 하나님께서 꿈과 환상으로 그들에게 계시하심(민12:6, 계1:2,11,19)
. 성령이 그들을 감동하여 하나님의 뜻을 나타냄삼하23:2, 벧후1:21, 갈1:12, 엡3:5)
   
기록한 기간 1600년 동안 1500년 동안 100년 동안
성경 중 가운데 책 짝수임으로 없음 잠언 데살로니가후서
성경 한가운데 장 시 117 편 욥 29 장 롬 13 장
성경 한가운데 절 시 118 : 18 절 대하 20 : 17 절 행 17 : 17절
가장 긴 책 시편 시편 사도행전
가장 짧은 책 요한 2 서 오바댜 요한 2 서
가장 긴 장 시 119 편 시 119 편 마 26 장
가장 짧은 장 시 117 편 시 117 편 계 15 장
가장 긴 절 에 8 : 9 에 8 : 9 고린도후서 12 : 20
가장 짧은 책 출 20 : 13-14 출 20 : 13-14 데살로니가전서 5 : 16
 

※길고 짧은 장과 절은 번역에 따라서 약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사실 성경의 길고 짧은 장절을 반드시 알아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그냥 참고하기 바란다.

장과 절의 구분은 13세기의 랭튼(Stephen Langton)에 의해 라틴역본(Vulgate)에서 장 구분이 시작되었고, 1448년 나단(R. Nathan)이 구약을, 1551년에 프랑스의 에스티엔느(Stephanus -Robert Estienne)가 신약을 절로 구분했으며 1560년에 이르러 휘팅검(William Whitingham)이 구약과 외경까지 절 구분을 끝냈다.

성경의 구약과 신약이라는 명칭도 신약이 거의 형성된 2세기 말에서부터 불린 것으로서 하나님과 그의 백성 사이에 맺어진 두 큰 언약인 모세의 언약(출24:8)과 새 언약(눅22:20)에 각각 입각하기 때문이다. 구약과 신약은 시간적으로 전자는 그리스도께서 오시기 전, 후자는 오신 후의 기록을 말한다.

   
말이 같은 장 왕하 19 장 = 이사야 37 장    
각 절 끝이 같은 장 시편 136 편    
말이 같은 절 시편 107 편 8, 15, 21, 31    
재림 - 말씀사용회수 318 회    
하나님의 아들 - " 40 회    
인자 - 말씀사용회수 77 회    
독생자 - " 5 회    

신구약 성경
책별 분류표

분류 구약
율법서 (5) 1.창(50) 2.출(40) 3.레(27) 4.민(36) 5.신(34)
역사서 (12) 6.수(24) 7.삿(21) 8.룻(4) 9.삼상(31)10.삼하(24) 11.왕상(22) 12.왕하(25) 13.대상(29) 14.대하(36) 15.스(10) 16.느(13) 17.에(10)
시가서 (5) 18.욥(42) 19.시(150) 20.잠(31) 21.전(12) 22.아(8)
선지서 (17) - 대선지서(5권) - 23.사(66) 24.렘(52) 25.애(5) 26.겔(48) 27.단(12)
- 소선지서(12권) - 28.호(14) 29.욜(3) 30.암(9) 31.옵(1) 32.욘(4) 33.미(7) 34.나(3) 35.합(3) 36.습(3) 37.학(2) 38.슥(14) 39.말(4)

 

분류 신약
복음서 (5) 1.마(28) 2.마(16) 3.눅(24) 4.요(21)
역사서 (1) 5.행(28)
서신서 (21) - 바울서신(13권) - 6.롬(16) 7.고전(16) 8.고후(13) 9.갈(6) 10.엡(6) 11.빌(4) 12.골(4) 13.살전(5) 14.살후(3) 15.딤전(6) 16.딤후(4) 17.딛(3) 18.몬(1)
-공동서신(8권)- 19.히(13) 20.약(5) 21.벧전(5) 22.벧후(3) 23.요일(5) 24.요이(1) 25.요삼(1) 26.유(1)
묵시서 (1) 27.계(22)

 

제자훈련

교육훈련-2.png

장식-9.png

제자훈련은


평신도지도자를 세우는 1년 과정의 프로그램으로, 구원받은 평신도로 하여금 그리스도의 인격을 닮고 그분의 삶과 가르치심대로 살 수 있도록 훈련하는 32주 과정의 훈련 프로그램입니다.

우리 교회에서는 이러한 제자훈련을 받기 위한 기초과정으로서, 2001년부터 새가족 성경 공부반을 개설, 운영하고 있으며, 2003년부터는 구역조직을 소그룹활동의 구역조직으로 개편하여, 구역예배를 귀납법적 방법으로 전환하여 드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제자훈련과정은 교재만을 32주를 배우게 되는데, 이 훈련과정에는 두 번의 수련회가 들어가 있으며, 한 번 모일 때 2시간 반을 모여 공부하게 됩니다. 이러한 제자훈련과정은 단순한 성경공부를 뛰어 넘어서 말씀을 자신의 삶에 그대로 적용하는 단계까지 공부하는 심도깊은 평신도지도자 양육훈련입니다.

라인1.png

제자훈련 교재

제 1권-제자훈련의 터다지기 (6과)
제1권은 제자훈련의 기초에 관한 내용을 다르고 있다.
자기 신앙의 문제점을 파악하게 가고 이제부터 매일 실천해야 하는 말씀과 기도의 좋은 습관을 갖게 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제 2권-아무도 흔들 수 없는 나의 구원 (14과)
제2권은 구원의 진리를 14주 동안 집중적으로 공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복음과 교리와 생활이라는 삼중관계를 가능한 균형있게 다루어 보려고 애썼다.
이 부분을 공부하면서 마음이 열려야 하고, 인격과 생활에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


제 3권-작은 예수가 되라 (12과)
제3권에서는 신앙인격과 관계를 성숙한 관계로 이끌어주기 위해 중요한 내용들을 담고 있다.
아무리 제자훈련을 잘 받았다고 하더라고 인격이 성숙하지 못하면 교회에 덕을 세우지 못하는 일을 많이 볼 수 있다. 이런 모순을 최대한 예방하기 위해 12주 동안 스스로 씨름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을 만든 것이다. 이 부분을 공부하면서 회개의 역사가 일어나야 할 것이다.

사역훈련

교육훈련-3.png

장식-9.png

사역훈련이란


제자훈련을 마친 훈련생이 평신도 지도자로서 쓰임받기 위해 훈련하는 마지막 과정으로써, 로마서 7장을 통해 성령론을 배우고, 아울러 교회론을 통해 평신도의 자아상을 확립하고, 소그룹에 어울리는 리더십 그리고 귀납법적 성경연구방법 등을 배우게 되는 24주 훈련과정입니다. 이 과정이 필요한 것은 제자훈련을 마쳤다고 해서 모두가 다 말씀사역자로 쓰임받는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제자훈련을 마친 수료생 중 말씀사역에 합당한 자를 선발하여 다시 사역훈련을 받게 하므로, 사역하면서 반드시 알아야 할 성령론 그리고 목회자의 파트너로서의 평신도의 자아상과 평신도 지도자가 몸담을 소그룹환경과 리더십을 확립시켜주는 일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다 하겠다. 그래서 생겨난 것이 ‘사역훈련’이란 과정이다.

라인1.png

사역훈련 교재
&교과내용

제 1권 성령, 새생활의 열쇠 (6과)
제자훈련 때 배운 신앙의 기반을 성령론을 통해 다시 한 번 보강하는 시간이다.

 

제 1과 정죄는 끝났다.
제 2과 영의 생각을 하는 사람
제 3과 몸의 행식을 죽이는 사람
제 4과 고난과 영광을 함께 받는 후사
제 5과 확실한 두 가지 보증 제 6과 아무 것도 끊을 수 없는 관계

 

 

제 2권 교회와 평신도의 자아상 (9과)
중생을 받았고 그 인격이 아름답게 변화된 사람이라도 가르쳐 주지 아니하면 잘못된 교회관을 가질 수 있는 바, 올바른 교회관과 평신도의 자아상을 바로 잡아 줌으로 의식개혁을 이루는 시간이다.

 

제 1과 교회가 무엇인가
제 2과 교회의 존재이유 (1) : 예배
제 3과 교회의 존재이유 (2) : 훈련
제 4과 교회의 존재이유 (3) : 증거
제 5과 제자의 자격 (1) : 전적 위탁자
제 6과 제자의 자격 (2) : 증인
제 7과 제자의 자격 (3) : 종
제 8과 몸의 지체와 상호사역 제 9과 당신은 왕같은 제사장이다

 

 

 

제 3권 소그룹환경과 리더십 (9과)
사역훈련을 마치면 당장 말씀을 가지고 다른 형제들을 섬겨야 할 평신도 지도자가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교육이론과 실습을 다루는 시간이다. 즉 소그룹에 어울리는 리더십이 무엇이며, 소수의 사람과 함께 앉은 자리에서 가장 이상적인 공부방법이 무엇인가 하는 점에 대해 이론적 공부와 실습을 해보는 시간이다.

 

제 1과 소그룹 성경공부의 교육환경
제 2과 소그룹 성경공부와 리더십
제 3과 소그룹 성경공부의 인도법
제 4과 귀납적 성경공부의 실제(1) : 관찰
제 5과 귀납적 성경공부의 실제(2) : 해석
제 6과 귀납적 성경공부의 실제(3) : 적용
제 7과 다락방 교재 인도법
제 8과 소그룹 지도법 견습과 평가 제 9과 소그룹 지도법 견습과 평가

 

 

 

제 4권 신구약성경의 파노라마 (1-13과/옵션 )
사역훈련을 마치고 구역에서 말씀을 가지고 다른 형제들을 섬기는 원하는 자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성경지식을 조금이나마 체계적으로 잡아주기 위해 마련된 과정이다. 사역훈련 자체에서는 신구약성경 전체는 소상하게 주석해 줄 있는 여유가 없다. 그러므로 신구약의 개요와 전체적인 흐름을 명확하게 배우는 시간이 필요한데, 이 시간이 바로 그러한 시간이다. 테리 홀(Terry Hall)이 쓴 『성경종합개관』(나침반사)나, 디모데성경연구원이 발행한 『신구약 파노라마』의 교재를 사용한다.

 

전도훈련

교육훈련-4.png

장식-9.png

전도훈련


일산명성교회는 매주 전도훈련시스템을 갖추고 화요일과 수요일 오전 10시반 에 전도대로 모입니다. 화요일은 홀수여전도회를, 수요일에는 짝수여전도회를 중심으로 모이게 되는데, 모이게 되면, 찬송과 전도훈련(강의,설교,통성기도)을 받게 되며, 곧이어 지역으로 파송되어 전도를 실시하게 됩니다.
특히 4월과 11월에 있는 총력전도주일이 되면 온교인이 전도대에 참석하여 일산지역 전역에 집중적으로 전도를 행하게 됩니다. 일산명성교회 교인이면 누구나 이 전도훈련에 동참할 수 있으며, 모든 성도들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라인1.png

섬기는이

4. 사역훈련

사역훈련이란 제자훈련을 마친 훈련생이 평신도 지도자로서 쓰임받기 위해 훈련하는 마지막 과정으로써, 로마서 7장을 통해 성령론을 배우고, 아울러 교회론을 통해 평신도의 자아상을 확립하고, 소그룹에 어울리는 리더십 그리고 귀납법적 성경연구방법 등을 배우게 되는 24주 훈련과정입니다. 이 과정이 필요한 것은 제자훈련을 마쳤다고 해서 모두가 다 말씀사역자로 쓰임받는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제자훈련을 마친 수료생 중 말씀사역에 합당한 자를 선발하여 다시 사역훈련을 받게 하므로, 사역하면서 반드시 알아야 할 성령론 그리고 목회자의 파트너로서의 평신도의 자아상과 평신도 지도자가 몸담을 소그룹환경과 리더십을 확립시켜주는 일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다 하겠다. 그래서 생겨난 것이 사역훈련이란 과정이다.

전도대는 본 교회 16개 위원회 중 선교위원회 소속 전도부서에 속합니다.

김도진 장로
선교위원회 위원장
이강복 권사
전도부장